본문 바로가기

밥해먹기16


뚜껑형 김치냉장고에 성에가 생기는 원인과 김치냉장고 성애제거법 [목차]1. 김치냉장고의 역사2. 김치냉장고에 성에가 생기는 원인3. 석빙고의 원리4. 김치냉장고 성에 제거하는 방법 1. 김치냉장고의 역사 김치냉장고라는 게 처음 나왔을 때의 충격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김장독의 원리를 냉장고로 구현하다니. 그 발상의 신선함과 놀라운 성능에 감동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김치독을 묻을 마당이 없는 아파트 구조에서 짧게는 몇 달, 길게는 1년 이상 김치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점이 대단히 인상적이었습니다. 김치냉장고가 최초로 돌풍을 일으킨 것은 딤채였기 때문에 만도기계가 최초로 김치냉장고를 만든 줄 알았었는데 이번에 다시 검색해보니 LG전자의 전신인 금성에서 1984년에 출시했군요. 당시에는 아파트가 지금처럼 많이 보급되지 않아서 개인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많아 땅.. 2020. 12. 19.
달지 않은 복숭아잼 복숭아청 만들기에 필요한 설탕의 양 계산하기 (브릭스 뜻) [목차]1. 복숭아 영양성분2. 복숭아 효능3. 복숭아 보관온도4. 당장법 (1) 당장법의 종류 (청, 잼, 프리저브, 마말레이드, 포비들, 기타) (2) 복숭아잼, 복숭아청 만들기에 필요한 설탕의 양 계산하기 (3) 브릭스 Brix5. 복숭아 오래 보관하는 방법 (1) 복숭아청 만들기 (2) 복숭아효소 만들기 (3) 복숭아잼 만들기 (4) 복숭아 말랭이 만들기 (5) 냉동 복숭아 만들기 올해는 비도 많이 오고 태풍도 자주 와서 기상이 좋지 않았습니다. 복숭아는 땡볕에 가물 때 작황이 좋고 당도가 높아지는데 해도 많이 못보고 비가 많이 와서 당도도 그리 높지 않은데다 태풍에 다 익은 과일들이 땅에 떨어져서 가격도 많이 비싸졌습니다. 백도에 비해 황도는 어느 정도 맛이 들었지만 황도 복숭아 제철은 8월말부.. 2020. 9. 8.
집에서 실패 없이 유기농 발아현미 만들기 [목차]1. 현미밥을 먹기 힘든 이유2. 현미를 발아시키는 두 가지 방법3. 초간단 발아현미 만드는 방법4. 발아가 완료된 사진5. 발아현미밥 만드는 법6. 발아현미에서 쓴맛이 나는 이유 1. 현미밥을 먹기 힘든 이유 현미가 몸에 좋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막상 현미밥을 먹는 일이 쉽지는 않습니다. 현미밥은 거친 섬유질이 많아서 까끌까끌하고 쌀알 한 알까지 꼭꼭 씹지 않으면 소화가 잘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미를 물에 충분히 불리지 않고 밥을 지으면 쌀알이 입안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기도 합니다. 백미밥은 영양분이 적을 뿐만 아니라 혈당을 빨리 올리기도 합니다. 식이섬유 함유량도 적습니다. 요즘 현대인의 식단에는 식이섬유가 절대적으로 부족한데 하루 3끼 현미밥을 먹으면 하루 식이섬유 권장량의 약 1/3 정.. 2020. 6. 3.
대봉감 숙성 빨리 하는 방법 비교 실험 (홍시 만드는 방법) - 사과(에틸렌), 온도, 햇빛 유기농 대봉감을 한 상자 구입했습니다. 대봉감은 받으면 딱딱하고 떫은 맛이 나는 상태이기 때문에 숙성을 시켜서 홍시로 만들어야 먹을 수 있습니다. 보통은 서늘한 곳에 두면 보름 이상 되면 하나씩 홍시로 변한다고 하는데 좀더 빨리 먹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인터넷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찾아보니 대봉감을 빨리 숙성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었습니다. 첫번째는 사과와 함께 넣어 두는 것입니다. 사과에서 나오는 에틸렌 가스가 감을 빨리 숙성시킨다고 되어 있습니다. 두번째 방법은 감꼭지 부분에 소주를 붓거나, 소주를 솜에 적셔서 꼭지를 감아놓는 것입니다. 세번째 방법은 햇빛에 노출하는 방법입니다. 시원한 곳에 두면 숙성이 더딘 것을 반대로 적용하는 것 같습니다. 네번째 방법은 따뜻한 곳에 두는 것입니다. 이.. 2019. 11. 26.

;